브로카 실어증, 베르니케 실어증

좌뇌가 심각하게 손상되면 언어장애가 생깁니다. 프랑스의 신경과 의사인 브로카(Pierre Paul Broca)는 언어의 표현 기능 이상인 브로카 실어증, 독일의 신경학자 베르니케(Carl Wernicke)는 언어의 이해 기능 이상인 베르니케 실어증을 발견했습니다.

 

실어증 부위 1

실어증(Aphasia)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원인으로 언어 능력에 장애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좌뇌의 손상에 의해 생깁니다.

 

브로카 실어증 (Broca’s aphasia)

프랑스의 신경과 의사, 인류학자 브로카(Pierre Paul Broca)는 좌뇌 전두엽(frontal lobe) 특정부위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이 보이는 언어 장애를 발견했습니다. 전두엽의 이 부위를 브로카 영역 (Broca’s Area)이라고 부르고, 이 부위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이 보이는 실어증 증세를 브로카 실어증이라고 합니다.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은 운동성 실어증이라고도 부릅니다. 언어의 표현 기능에 이상이 있습니다.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a)

독일의 신경학자 베르니케(Carl Wernicke)는 측두엽(temporal lobe) 후방에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 보이는 언어 장애를 발견했습니다. 이 부위를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라고 부르고, 이러한 장애를 베르니케 실어증이라고 합니다.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 aphasia)은 감각성 실어증이라고도 부릅니다. 언어를 이해하는 기능에 이상이 있습니다. 언어를 구사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유창실어증(Fluent Aphasia).

 

전도 실어증(conduction aphasia)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을 이어주는 궁형소속(arcuate fasciculus)의 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실어증입니다. 상대의 말을 따라 하지 못하는 증세를 보입니다.

 

브로카 실어증과 베르니케 실어증의 차이

브로카 실어증(Broca’saphasia)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a)
언어의 표현 기능에 이상이 있다.
유창하지 못하다.
발음을 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
적절한 단어를 찾아내는 것이 어렵다.
심각한 통사적 결함을 가진다.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다.

언어의 이해 기능에 이상이 있다.
유창하다.
의미 없는 말들을 연결시킨다.
단어의 결합이 정상적이지 못하다.
상대방의 말과 글을 이해하지 못한다.

 

 

 

Leave a Comment